본문 바로가기
22/04/12 경제 이슈_3년물 국고채 금리, 창동주공 재건축 등 22년 4월 13일 3년물 국고채 금리, 10년 만에 사상 최고치 #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미국의 긴축시계가 빨라지면서 국내 3년물 국고채 금리는 3%를 넘으며 약 10년 만에 사상 최고치 기록 - 국고채 3년물 금리와 30년물 금리가 사상 최초로 역전되는 현상 발생 (30년물 도입 이후 사상 최초) - 한국은행에서 최근 금리 안정을 위해 채권 매입에 나서기도 했으나 금리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 - 통화정책 전망과 해외 금리의 영향을 받는 3년물 금리가 급등해 고정적인 수요를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30년물 금리를 앞지름 (장단기 금리 역전은 경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되기도 함) # 기획재정부 : 국내총생산(GDP) 성장률은 2% 중반으로,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% 중반으로 보.. 2022. 4. 14.
22/04/11 경제 이슈_머스크 트위터 개혁, 올림픽 훼밀리 타운, 중화122구역 등 22년4월11일 경제 이슈 머스크, 트위터 개혁 시동 # 최근 트위터 최대주주로 올라선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위터의 대대적 개혁을 예고 - (유료 구독 모델인) 트위터 블루 구독료 가격은 월 2달러 이하(현재 2.99달러)가 돼야 하고, 12개월치 선불로 지불 - 가상화폐 도지코인을 결제 옵션에 추가하는 방안도 제안 일본, 42년만에 경상수지 적자 전망 # 엔화 약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가운데 원자재 수입 가격 급등으로 경상수지가 1980년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 - 일본은 작년 GDP(국내총생산)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256%로 G7(주요 7국) 가운데 재정 상태가 최악이지만 수십년간 경상수지 흑자를 발판 삼아 엔화 가치를 지켜왔음 - 그러나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서.. 2022. 4. 12.
22/4/9 경제 이슈_금리 인하, 달러/엔화 환율 등 22년 4월 9일 경제 이슈 총재 공백에도, 14일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#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0년 3개월 만에 4%를 넘어서고 있음 -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이 물가 상승뿐만 아니라 경제의 성장성까지 훼손하고 있음 - 자칫 이달 금리 인상이 스태그플레이션으로의 문을 여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 * 스태그플레이션 : 경제 불황 속에서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 # 14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는 사상 처음으로 금통위 의장을 겸임하는 총재가 없는 상태에서 열릴 예정 - 금통위는 지난해 8월부터 금리를 올리기 시작해 기준 금리를 1.25%까지 끌어올렸음 - 추가 인상은 2분기(4~5월)로 넘겨놓은 상태 - 미국이 기준 금리를 한 번에 0.5%포인트 올리는 '빅스텝'을 2회.. 2022. 4. 10.
22/4/8 경제 이슈_미국 유동성 회수, DMA 잠정 합의 등 22년 4월 8일 경제 이슈 미, 빅스텝·양적긴축으로 유동성 회수 계획 # 물가 잡기에 나선 미 연방준비제도(Fed) - 매달 최대 약 116조원 규모의 양적 긴축 실시, 앞으로 한 번 이상 '빅스텝'(0.5%포인트)으로 기준금리 인상 - 채권 금리가 뛰고 주가는 하락중 #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(FOMC) 정례회의에서 "Fed의 대차대조표 축소를 이르면 다음달 부터 진행"에 다수 동의 - 대차대조표 축소는 Fed가 보유한 자산을 매각해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다시 회수하는 양적 긴축을 뜻함 - 금리 인상보다 시장이 더 두려워하는 돈줄 죄기 전략 - Fed가 보유 자산을 매각하면 채권값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만큼 시장이 예민하게 반응 한국의 곡물자급률 20% 붕괴 #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, 한국.. 2022. 4. 8.